북한이 또 ICBM(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발사
북한 ICBM(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 테스트
북한이 발사한 중거리급 이상 탄도미사일은 화성포-18형 대륙간탄도미사일(ICBM)로,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신형 무기체계라고 합니다.. 이번 시험발사는 김정은 총비서의 지도하에 진행되었으며,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은 이를 "공화국 전략무력의 전망적인 핵심 주력 수단으로, 중대한 전쟁억제력의 사명을 수행하게 될 새형(신형)의 대륙간탄도미사일 '화성포-18'형 시험발사가 단행됐다"고 보도하였습니다.
노동신문은 이번 시험발사로 "대출력 고체연료 다계단 발동기들의 성능과 단분리 기술, 각이한 기능성 조종 체계들의 믿음성을 확인"했다며, 이번에 발사한 ICBM에는 고체연료가 사용되었음을 분명히 밝혔다. 미사일은 1계단에서는 "표준 탄도비행방식"을 적용하고, 2·3계단에서는 고각방식을 적용하며 "시간 지연 분리시동 방식"을 통해 무기 체계의 각 계통별 기술적 특성들을 확인하였다고 합니다.
신문은 또한, 분리된 미사일의 1단은 함경남도 금야군 호도반도앞 10㎞ 해상에, 2단은 함경북도 어랑군 동쪽 335㎞ 해상에 낙탄했다며, 탄두부에 장착한 카메라로 각 단이 분리되는 장면을 찍은 사진과 함께 우주에서 내려다본 지구 사진도 공개하였습니다.
노동신문은 이번 시험발사로 "신형 전략무기체계의 모든 정수들이 설계상 요구에 정확히 도달됐으며 신형 대륙간탄도미사일이 보다 군사적 효용성이 큰 위력적인 전략적 공격 수단으로 된다는 담보와 신뢰를 가질 수 있게 됐다"고 밝혔습니다.
고체연료 ICBM인 '화성-18형'은 공화국 전략무력의 강력한 핵심 주력 수단으로 부상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북한의 이번 발사는 김정은 총비서가 직접 지휘했으며, 이 무기는 곧 추가적인 시험발사를 거쳐 양산단계에 돌입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무기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탄도미사일로서, 액체연료 활용 탄도미사일에 비해 더욱 전략전술적 차원에서 활용도가 높아진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에 따라 북한은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의 '5대 과업' 중 하나로 이 무기를 개발해왔습니다.
북한은 이번 발사를 통해 이동식발사대(TEL)에 군사용 차단막을 두어 은폐·엄폐 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것임을 시사했습니다. 이전에는 지난해 12월 대출력 고체연료 발동기(엔진)의 첫 지상분출시험을 성공적으로 진행하며 이를 이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정은 총비서는 발사 전부터 이 무기체계의 모든 준비 공정을 지켜보며 점검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발사는 북한의 고도화되고 있는 국방 기술력의 막강한 잠재력과 현실성을 뚜렷이 확증하며, 무력 강화 목표 달성을 위한 드문 결단과 실천 능력을 과시한 것으로 평가됩니다.
최근 북한이 중거리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하였습니다. 이에 대해 북한 정부 인사 중 한 명인 김 총비서는 이번 발사는 전략적 억제력 구성 부분을 크게 재편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며, 핵반격태세의 효용성을 급진전시키고 공세적인 군사 전략의 실용성을 변혁시킬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총비서는 또한 이번 발사로 인해 적들에게 더욱 분명한 안보위기를 체감시키게 될 것이며, 공포와 불안에 시달리게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러한 위협적인 발언은 북한이 외교적인 대화와 합의보다는 군사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또한, 이번 미사일 발사 현장에서는 김 총비서의 딸인 김주애와 부인인 리설주 여사, 동생인 김여정 당 부부장도 함께 포착되었습니다. 이들의 참여는 북한 정부가 이번 발사를 국내에서도 주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북한이 이번 발사를 통해 군사력을 강화하고 있다는 것은 북한의 안보정책이 여전히 대화와 합의보다는 강경한 대응에 초점을 둔 채 진행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앞으로 국제사회는 북한의 위협적인 행동에 대해 적극적인 대응을 취해야 할 것입니다.
점점 북한과의 관계도 얼어붙고 참 어려워지고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