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를 주섬주섬

주섬주섬 모아서 함께 나눠요

일상생활

번아웃 증후근 예방 및 극복하는 방법

@주섬주섬@ 2023. 4. 15. 06:12

이미지 투데이

 

번아웃을 이겨내 봐요!!

  현대인들 모두 항상 바쁘게 일을 처리하며 살아왔습니다. 하지만 많은 현대인들이 어느 날 갑자기 피로와 무기력으로 인해 어떠한 일도 처리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전까지는 일중독자, 완벽주의자로 불리기도 했지만, 이제는 손 하나 까딱하기 싫을 정도로 지쳐버립니다.

 

바쁜 현대인들 어느날 갑자기 찾아오는 무기력감

 종종 일상에서 몰두하다 보면 체력적이나 정신적인 스트레스가 쌓이게 되어 무기력증, 강한 불안감, 자존감 저하, 적개심, 의욕 상실 등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미국의 정신 분석학자인 허버트 프뤼덴버그(Herbert Freudenberger)에 의해 '번아웃(burn-out) 증후군'으로 이름 붙여졌습니다. 이는 심한 피로감, 연소 증후군, 소진 증후군 등으로 불리며 '모든 것이 타서 없어진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심리학자인 권의정 원장(원주 좋은마음정신건강의학과)은 "번아웃 증후군은 현대인들, 특히 조직에서 경쟁과 스트레스를 맞닥뜨리는 30~40대 직장인들에게서 자주 발생합니다. 일상에서 동일한 루틴을 반복하며 의욕적으로 일에 몰두하던 사람이 갑자기 심한 정신적, 신체적 피로감을 느끼고 무력감에 빠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취욕이 높고 완벽주의적인 성격일수록 번아웃 증후군을 자주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능한 빨리 증세를 극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무기력증이나 우울증 등 더 심한 증상들을 겪을 수 있습니다." 라고 설명하였습니다.

번아웃을 의심해 봐요

 번아웃 증후군의 조기 징후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체력과 기력이 약해져 무기력해진 느낌이 듭니다. 둘째, 쉽게 짜증이 나며 분노를 느낍니다. 셋째, 일에 대한 열정과 의욕이 사라지고, 일상적인 일들이 무의미하게 느껴집니다. 이러한 증상이 급속도로 진행되며, 넷째로 만성적인 질병에 시달리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감정적인 소진이 생기며 에너지가 없어져 우울증이나 무력감이 생기게 됩니다.

  WHO는 번아웃 증후군을 세 가지 유형으로 설명합니다. 첫째, 직무 수행으로 인해 기력이 약해져서 탈진 상태에 빠지는 것, 둘째, 직업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이 생기고 냉담해지는 것, 그리고 마지막으로 일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것입니다. 이러한 세 가지 증상이 함께 나타난다면, 번아웃 증후군을 경고할 필요가 있습니다." 하고 말했습니다.

 

번아웃과 스트레스의 차이점은?

 
 

 번아웃 증후군에 걸린 경우, 갑자기 하는 일에 쉽게 짜증이 나고 사소한 일에 분노가 치밀어 오르며, 하는 일이 부질없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업무 효율이 떨어지면서 자신감이 저하되고, 직장에서 눈치를 보게 되며 때에 따라 징계를 받을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이 차츰 증가하지만,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를 일상적인 업무 스트레스로 여겨 방치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스트레스와 번아웃 증후군을 명확히 구분하기는 어렵지만,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는 지나치게 일에 몰입하면서 발생하지만, 번아웃 증후군은 일에 몰두할 수 없는 현상으로 나타납니다. 스트레스는 민감해지는 감정 반응이 일반적이지만, 번아웃 증후군은 심해질수록 감정 반응이 둔해지고 무기력 등으로 행동이 줄어듭니다. 스트레스가 증가하면 불안으로 표현되지만, 번아웃 증후군은 불안뿐만 아니라 혼자라는 생각, 자기 비하 등 우울감으로 진행될 수도 있습니다. 작은 스트레스는 극복되면 보람을 느끼기도 하고, 일에 대한 자신감으로 변화될 수도 있지만, 번아웃 증후군은 부정적인 감정만이 정신을 지배합니다. 물론 스트레스가 적절히 해소되지 않고 오래 지속되면 결국 번아웃 증후군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잊어서는 안됩니다

 

혼자 해결할 수 없어요. 함께 극복 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직장인들은 번아웃 증후군에 빠지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입니다. 업무량, 야근 등의 잔업을 줄이고 운동이 나 취미와 같은 스트레스 해소 방법을 찾기 위해 직장 선배나 지인, 배우자 등에게 고민을 토로하며 조언을 구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해결책은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고 번아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이 효과가 없을 때, 혼자서는 해결할 수 없는 상황일 때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번아웃은 개인적인 문제 뿐만 아니라 조직의 문제로도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따라서 조직 리더들은 직원들이 번아웃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업무와 조건을 식별하고, 이를 수정하거나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근로자들이 번아웃을 경험할 경우 이를 인지하고 적극적으로 상담과 도움을 제공하여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번아웃을 경험한 직원들은 자신의 상황을 인지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자신의 요구사항과 한계를 파악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업무에만 치중하지 않고 취미나 운동, 가족과의 시간 등 자신의 삶에도 충분한 관심과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번아웃은 일과 삶의 균형을 잡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므로, 균형 잡힌 삶을 유지하며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반응형
LIST